재테크

축하받다 세금폭탄? 결혼 축의금·혼수 세금 이야기

행복만땅가득 2025. 5. 6. 12:00
반응형

결혼은 인생의 가장 큰 축제 중 하나입니다. 많은 축복과 함께 지인들로부터 다양한 축의금과 혼수용품을 받기도 하죠. 그런데 혹시 들으셨나요? 이런 선물들이 경우에 따라 증여세 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요.

오늘은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 신혼부부와 가족들이 꼭 알아야 할, 결혼축하금과 혼수용품의 증여세 과세 여부를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결혼 축의금, 대부분은 비과세!

조세심판원 판례(조심 2016서1353)에 따르면, 일반적인 결혼 축의금은 우리 사회의 전통적 관습에 따라 지급되는 것으로,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금품으로 봅니다.
따라서 통상적인 결혼 축의금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  예시:

  • 친구, 친척이 주는 일반적인 축의금
  • 통상적인 수준의 축하 선물

그러나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혼주의 부모님 계좌로 받은 축의금을 자녀가 사용하는 경우, 그 금액은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증여된 것으로 간주되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부모님 계좌로 받은 돈은 주의해서 관리하세요!


2. 고가 혼수용품은 세심하게 따져야

혼수용품 역시 통상 필요한 가사용품이라면 비과세지만,
호화·사치품, 주택, 차량 등은 증여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비과세 혼수용품 예시:

  • 냉장고, 세탁기, 가구 등 일상적인 가전제품 및 가구

- 과세 대상 혼수용품 예시:

  • 명품 가방 10개 세트
  • 억대 명품 시계
  • 결혼 선물로 받은 주택 또는 차량

특히, 혼수용품 구매비용을 부모가 대신 지불한 경우라면 '상당한 재력'을 고려해 증여세 과세 여부를 따져야 하니 신중해야 합니다.


3. 축의금으로 재산 형성? 조심하세요

결혼 축의금은 결혼 비용이나 생활비로 쓰는 것이 사회통념상 인정됩니다.
하지만 축의금을 모아 부동산 구입, 차량 구매 등 재산 형성에 사용하면, 과세관청은 이를 증여로 보아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 Tip: 축의금은 생활비, 신혼여행비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4. 금액 기준은 따로 있을까?

명확한 금액 기준은 없습니다.
다만 판례상 **외손자에게 400만원을 결혼축하금으로 송금한 사례(국심2003부562)**는 비과세로 인정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백만원 수준의 축의금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수천만원 이상, 특히 억 단위로 넘어가는 경우는 전문가 상담을 꼭 받아야 합니다.


5. 결혼 축의금·혼수용품 증여세 체크리스트

-  통상적인 축의금은 비과세
-  부모 계좌로 받은 돈 사용 시 주의
- 고가 혼수용품, 재산형성용 축의금은 과세될 수 있음
- 애매할 땐 세무 전문가 상담 필수!

행복한 결혼 준비, 세금 걱정 없이 하고 싶다면 이번 정보 꼭 기억해두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