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해열진통제 3대장!
아세트아미노펜 vs 이부프로펜 vs 덱시프로펜
두통, 생리통, 치통, 근육통, 감기…일상에서 자주 겪는 통증을 완화해주는 해열진통제.
그중에서도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덱시프로펜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3대 성분입니다. 하지만 각각의 작용 방식, 복용 방법, 부작용 등이 달라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주요 성분 소개 및 대표 제품
성분명 | 대표 제품 | 특징 |
아세트아미노펜 | 타이레놀, 펜잘큐, 어린이용 챔프 시럽 등 | 열과 통증에 효과적. 위에 부담 적음 |
이부프로펜 | 부루펜, 애드빌, 이지엔6 이부 | 해열, 진통, 항염 효과 있음 |
덱시프로펜 | 펜잘EX, 록소펜, 탁센 | 이부프로펜의 활성형, 흡수 빠르고 진통 효과 강함 |
- 덱시프로펜은 이부프로펜의 구조 중 효과적인 부분만 사용한 ‘활성 이성질체’로, 더 적은 용량으로 효과를 낼 수 있어요.
2. 복용 방법 비교
성분 | 1회 용량 | 1일 최대 용량 | 복용 간격 | 복용 시점 |
아세트아미노펜 | 500~650mg | 2,400mg | 4~6시간 간격 | 식사와 관계없이 |
이부프로펜 | 200~400mg | 1,200mg | 6~8시간 간격 | 식후 복용 권장 |
덱시프로펜 | 100~200mg | 1,200mg | 6~8시간 간격 | 식후 복용 권장 |
- 덱시프로펜은 진통 효과가 빠르지만 위장 자극 가능성이 높아 반드시 식후에 복용해야 합니다.
3. 효능 및 작용 방식
성분 | 작용 부위 | 주요 효능 | 특징 |
아세트아미노펜 | 중추신경계 | 해열, 진통 | 위장 부담 적고 어린이도 사용 가능 |
이부프로펜 | 말초 + 중추 | 해열, 진통, 항염 | 관절통·염증성 통증에 효과적 |
덱시프로펜 | 말초 + 중추 | 강력한 진통, 항염 | 빠른 진통 효과, 위장 자극 가능 |
4. 부작용 및 주의사항
성분 | 주의할 점 | 금기 대상 |
아세트아미노펜 | 과량 복용 시 간 손상 | 간 질환자, 음주 후 복용 금지 |
이부프로펜 | 위장 장애, 신장 기능 저하 | 위궤양 환자, 심혈관 질환자 |
덱시프로펜 | 위장 자극, 속쓰림 | 위염·위궤양 환자, 노약자 복용 시 주의 |
- 특히 아세트아미노펜과 술을 함께 복용하면 간 독성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음주 후에는 피해야 합니다.
5. 상황별 복용 추천 가이드
상황 | 추천 성분 |
단순 발열, 감기 초기 | 아세트아미노펜 (타이레놀) |
생리통, 관절염, 근육통 | 이부프로펜 또는 덱시프로펜 |
빠른 진통 효과 필요 시 | 덱시프로펜 (펜잘EX 등) |
위장에 민감한 사람 | 아세트아미노펜 |
어린이 해열 | 아세트아미노펜 시럽 or 이부프로펜 시럽 |
6. 교차복용은 어떻게 하나요?
- 아세트아미노펜 + 이부프로펜(또는 덱시부프로펜) 조합은 OK
- 복용 간격은 4~6시간 이상 유지
- 반드시 용량 확인 및 중복 성분 주의
- 38.5도 이상 고열이나 통증 지속 시 일시적으로 교차복용 가능
- 예:09:00 타이레놀 복용 → 13:30 부루펜 복용 가능
** Tip
- 해열진통제를 선택할 땐 증상의 원인과 개인 건강 상태를 고려해야 합니다.
- 위장이 약한 사람은 아세트아미노펜이 적합하고, 염증을 동반한 통증에는 이부프로펜 또는 덱시프로펜이 더 효과적입니다.
- 모든 약은 권장 용량과 복용 간격을 꼭 지켜야 하며, 증상이 지속되면 전문가 상담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요약 정리
아세트아미노펜 | 해열 | 진통 | 항염 | 위장자극 | 간손상위험, 고용량 시 |
이부프로펜 | 해열 | 진통 | 항염 | 위장자극 | 간손상위험 |
덱시프로펜 | 해열 | 진통 | 항염 | 위장자극, 강함 | 간손상위험 |
'여러모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성년자 전동킥보드 뺑소니 사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59) | 2025.05.31 |
---|---|
2026학년도 대입입시 전형별 일정 정리 (18) | 2025.05.29 |
똑같이 돈 내고 다른 국민연금을 받는다면? (12) | 2025.05.29 |
공익직불금 받으려면 꼭! 공익직불금 의무교육 신청부터 시작해요 (10) | 2025.05.28 |
인터넷등기소 확정일자 신청 방법과 효력 발생 절차 (12) | 202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