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집은 완벽합니다.”부동산 매매 시 흔히 듣는 말입니다. 하지만 막상 입주 후 물이 새거나 벽에 곰팡이가 생긴다면?계약서에 서명한 이후 발견되는 하자는 매도인과 매수인 간 갈등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그래서 오늘은 꼭 알아야 할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1. 하자담보책임이란?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부동산을 인도한 후에도, 계약 당시 존재했던 하자에 대해 일정 기간 책임지는 법적 의무를 말합니다.이는 민법 제580조에 따라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아도 성립되며, 매도인은 손해배상이나 계약 해제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2. 하자의 종류물리적 하자누수, 균열, 곰팡이, 마감재 손상 등법률적 하자용도 제한, 건축법 위반, 제한물권 설정 등심리적 하자자살·타살, 범죄 이력 등 사회적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