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예·적금, 펀드, 주식 등 어떤 금융상품에 투자하든 수익만큼 중요한 게 바로 세금입니다.
같은 수익률이라도 세금이 붙느냐 안 붙느냐에 따라 실제 내 손에 들어오는 돈이 크게 달라지죠.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투자해 10% 수익을 냈다면
- 일반 상품이라면 세금 15.4% 떼고 84만 6,000원
- 비과세 상품이라면 세금 없이 100만 원 전액 수령!
그래서 꼭 알아야 할 비과세 금융상품들!
2025년 기준으로 어떤 상품들이 있고, 어떤 조건이 있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1. 비과세 금융상품 한눈에 보기
상품명 | 가입 대상 | 비과세 한도 | 유지 기간 | 특징 |
비과세 종합저축 | 만 65세 이상, 장애인 등 | 원금 5,000만 원 | 없음 | 전액 비과세 (중도해지도 비과세) |
청년도약계좌 | 만 19~34세 청년 (소득요건 충족) | 연 600~1,200만 원 | 최소 3년 (5년 권장) | 정부 지원 + 이자 비과세 |
ISA 계좌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만 19세 이상 누구나 | 비과세 200~400만 원 | 3년 이상 | 손익통산 후 비과세 + 분리과세 |
장기저축성보험 | 누구나 | 월납: 月 150만 원 / 일시납: 1억 원 | 10년 이상 | 보험차익 전액 비과세 |
청년형 주택드림청약통장 |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 이자소득 500만 원까지 | 3년 이상 | 납입액 소득공제 + 이자 비과세 |
상호금융 예탁금 | 누구나 (조합원) | 예탁금 3,000만 원 / 출자금 2,000만 원 | 제한 없음 | 이자소득세 0%, 농특세 1.4%만 부담 |
2. 각 상품 간단 정리
1) 비과세 종합저축
- 가입 조건: 만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 비과세 한도: 원금 5,000만 원까지 전액
- 주의 사항: 중도 해지해도 비과세 적용!
- 활용 팁: 고령자라면 무조건 우선 고려!
2) 청년도약계좌 (2025년 변경사항 반영!)
- 가입 조건: 만 19~34세 청년 + 근로/사업 소득자
- 정부지원: 월 최대 40만 원 매칭 (소득 따라 차등)
- 비과세 혜택: 이자 + 정부지원금 전액 비과세
- 2025년 변경: 최소 유지기간이 3년으로 완화됨!
3) ISA 계좌
- 가입 조건: 누구나 (청년형, 서민형, 일반형)
- 비과세 한도: 청년형 400만 원, 일반형 200만 원
- 유지 조건: 3년 이상 보유해야 비과세 혜택
- 장점: 예·적금, 펀드, ETF 등 다양한 자산 운용 가능
4) 장기저축성보험
- 가입 조건: 누구나 가능
- 비과세 조건:
- 월납: 월 150만 원 이하 & 10년 이상 유지
- 일시납: 1억 원 이하 & 10년 이상 유지
- 주의 사항: 중도 해지 시 과세될 수 있음
5) 청년형 주택드림청약통장
- 가입 조건: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 혜택:
- 이자소득 연 500만 원까지 비과세
- 납입액 40% 소득공제
- 기존 청년우대형보다 더 유리함!
6) 상호금융 예탁금
- 가입 조건: 농협, 수협, 신협 등 조합의 준조합원
- 비과세 한도:
- 예탁금 3,000만 원
- 출자금 2,000만 원
- 세금 혜택:
- 이자소득세 완전 면제
- 농특세 1.4%만 납부
7.비과세 상품 선택 팁
나의 상황 | 추천 상품 |
만 65세 이상 | 비과세 종합저축 |
사회 초년생 | 청년도약계좌, ISA |
고정소득 + 안정성 추구 | 장기저축성보험 |
무주택 청년 | 주택드림청약통장 |
농협·신협 거래자 | 상호금융 예탁금 활용 |
“같은 수익, 다른 세금”
이제는 비과세 혜택까지 계산하는 게 진짜 투자입니다.
2025년 현재, 정부도 청년·서민을 위한 다양한 비과세 상품을 늘리고 있어요.
소득이 많지 않더라도, 조건만 맞으면 세금을 아끼면서 자산을 불릴 수 있는 기회랍니다!
지금 내 상황에 맞는 상품 하나쯤은 꼭 챙겨보세요.
내 돈을 지키는 가장 현명한 첫걸음이 될 수 있어요.
반응형
'여러모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린 달라요!!! 벚꽃,매화꽃,살구꽃 아리송 한 봄꽃 구별법 (0) | 2025.04.07 |
---|---|
2025년 최신 best 로봇청소기 비교 분석-내맘에 드는 로봇청소기 고르기 (2) | 2025.04.07 |
빵집 마늘빵보다 맛있는 노브랜드 마늘빵!! (0) | 2025.04.06 |
키자니아 vs 잡월드, 어디를 갈까? 당신의 선택은~ (0) | 2025.04.06 |
인스타그램 속 Z세대 소통 트렌드!!! (0) | 2025.04.05 |